29일 국내 전문가 참여 자문위 발족
AI·에너지 전환 등 5개 분야 확보 목표
"물산업 미래 성장산업으로 리딩"발표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국내 물관리가 기후위기 대응과 차세대 성장동력에 더 집중하고 있다.
국내 최고 전문가들과 미래 물관리 혁신의 속도를 높이겠다고 29일 밝혔다.
경기도 과천 한강유역본부에서 학계·산업계·시민사회 전문가 14명이 참여한 가운데 '미래혁신자문위원회'를 공식 출범했다.
위원회 구성 목적에 대해, 수공은 국가 단위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대에 대응하고, 공공 민간의 역량을 넘어 혁신과제를 찾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수공은 세계 경제 한 축인 물관리 분야 트렌드는 신동력을 선점하는데 큰 역할을 할수 있다고 판단했다. 동시에 첨단 물산업 혁신으로 기후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도 담고 있다.
이날 1차 회의를 열고 위원장으로 석재왕 건국대 교수를 선출했다. 위원회는 기후위기 시대 물관리 혁신 전략을 제시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는 자문기구로서 활동할 예정이다.
특히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출범과 동시에 진행될 국책사업중 하나인 기후대응댐 건설에도 다양한 의견을 공유할 방침이다. 위원회 분과는 ▲안전 제도 혁신 ▲AI·디지털 전환 ▲에너지 전환 ▲자연성 회복 ▲글로벌 물산업 진흥의 5개로 꾸렸다.
향후 5개 분과는 홍수·가뭄 등 물재해 예방과 AI 기반 스마트 물관리 확대, 물-에너지 융합 사업 확대, 수질·수생태계 복원과 녹조 저감, 국내 물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등에 집중한다.
수자원공사는 위원회와 함께 국정과제를 중점으로 미래 물관리 혁신의 방향 재정립과 AI 3대 강국, 에너지 전환, 안전한 물 공급 등을 실질적 성과로 실행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석재왕 미래혁신자문위원장은 "국민이 체감하는 효용, 정부의 정책이 맞물릴 때 비로소 실행력이 생길 수 있다."며 "위원회는 시너지를 만드는 중심이 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석대 K-water 사장은 "물관리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의 미래가 걸린 생존 과제이자 세계 경제의 새로운 동력"이라며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과 혁신적 물관리 모델을 만들고, 물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리딩하도록 다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데일리 = 고용철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