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000만 달러 규모, 올해 해외 송배전사업 수주액 1000억원 돌파
| ▲ © 환경데일리 |
이번 사업은 한전이 수주한 해외 배전사업 중 최대 규모로 도미니카 전 지역에 걸쳐 전주 1만4000본, 전선 870km(서울-부산 왕복거리)의 배전망과 설비를 신설 교체하는 것으로 한전은 설계, 자재구매 및 시공의 전 과정을 수행하게 됐다.
한전은 스페인, 브라질 등 전 세계 13개 전력회사와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계약 절차를 마치는 대로 공사에 착수 2017년에 준공할 예정이다.
2011년 한전은 도미니카에서 5100만 달러(580억원) 규모의 배전 건설사업을 수주 성공적으로 완공했고, 이 사업을 통해 쌓은 발주처와의 신뢰와 검증된 기술력이 이번 수주에 큰 역할을 했다. 이로써 한전은 도미니카에서 누적 1억1000만 달러(1245억원)의 매출 달성과 함께 서울-부산간 거리의 5배인 2100km의 배전망을 시공하게 됐다.
한전은 세계 최고 수준의 송·배전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카자흐스탄, 인도, 도미니카 등 23개국에서 1억 7000만 달러(1930억원)의 송배전망 건설·컨설팅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 현재 나이지리아, 캄보디아, 파키스탄 등 13개국에서 총 4000만 달러(450억원) 규모의 송배전사업을 수행중이다.
올 10월에는 세계 최대시장 중 하나인 인도에서 120억 원 규모의 배전망 건설사업을 수주한 바 있으며, 이번 수주로 올해 해외 송배전사업 수주액이 최초로 1000억 원을 돌파하게 됐다.
![]() |
| ▲한전 해외 송배전사업 현황도 © 환경데일리 |
조환익 한전 사장은 "이번 수주는 세계 최고 수준인 한전의 기술력과 운영능력을 인정 받은 것으로, 스페인, 브라질 등 전력회사와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얻은 성과로 그 의미가 더욱 크다"면서 "캐나다 마이크로그리드, 두바이 스마트그리드 수출에 이은 중남미 사업 수주로, 향후 한전의 사업 지역을 전 세계로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전력분야 국내 중소기업들이 참여할 계획이며, 200억원 상당의 국내 중소기업 수출 창출이 기대된다. 한전은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 동반성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2001년부터 현재까지 한전의 해외 송배전 사업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 57개사가 2080억원의 수출실적을 거뒀다.
한전은 송배전망 건설 사업은 물론 블루오션인 전력IT와 에너지 신산업 분야 해외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7월 캐나다 파워스트림(PowerStream)사에 130억원 규모의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수출, 10월에 두바이 수전력청에 300만 달러 규모의 스마트그리드 수출을 달성했다.
한전은 나이지리아 라고스 지역에서 650만 달러 규모의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수행하는 등 배전자동화, 배전정보시스템과 같은 전력 IT분야 해외사업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한전은 4월 대통령의 중남미 순방 당시 브라질, 콜롬비아, 페루, 칠레 등 4개 국과 원자력,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배전 분야에서 7건의 MOU를 체결, 향후에도 전력 분야의 중남미 시장 진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