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MW Chabahar IWPP 개발사업 협력 MOU 등 3건
[환경데일리 최진경 기자] 한국전력 조환익 사장은 2월 29일 이란 테헤란에서 개최된 한-이란 비즈니스포럼에 참석, 이란 에너지부장관과 이란 부통령겸 원자력기구(AEOI) 위원장을 면담하고 전력분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500MW 차바하르(Chabahar) IWPP(Independent Water and Power Purducer) 개발사업 협력 등 3건의 MOU를 체결했다.
차바하르(Chabahar) IWPP 프로젝트 MOU 체결을 통해 한전은 포스코에너지, 포스코건설과 현지 제철회사인 PKP와 더불어 발전소 건설부지 확보, 이란 전력공사와의 전력판매 계약 체결, 재원조달 등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협력을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한전은 세계 최초로 자체 개발한 가스터빈 운전 중 고팅 기술을 가스 발전소가 많은 이란에서 적용, 그 효과를 실증하고, 이를 포함한 가스터빈 정비패키지 기술을 개발해 해외에 공동 진출하는 데 이란 Turbotec과 협력하기로 했다.
![]() |
| ▲왼쪽부터 윤동준 포스코에너지 사장,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 압돌레자 조로프치안(Abdolreza Zoroufchian PKP회장, 한찬간 포스코건설 회장 © 환경데일리 |
또한 한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는 이란의 부쉐르 훈련센타, 샤리프 대학 및 샤히드 대학과 원전 인력 양성 및 교류에 관한 협력 MOU를 체결했다.
한전은 2015년 4월 이란 에너지부장관(Chitchian)이 한전을 방문하여 협력하기로 합의한 전력망 효율향상 등 4대 분야에 관한 제안서를 이란전력공사(Tavanir)와 이란 에너지부에 제출하고, 4대 분야뿐만 아니라 IPP사업, 765kV 승압사업, 초고압 직류 송전망(HVDC) 설치 등 양국 간 전력분야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실무 차원의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란은 경제 제재 해제 이후 전력시설의 대대적인 복구사업의 일환으로 전력망의 효율 개선사업에 한전과의 협력을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란의 현재 송배전 손실률은 17.78% 수준으로 7%로 낮추는 것이 목표했다. (한전의 송배전 손실률은 3.58%로 세계 최고 수준임) 또한 약 1만7000MW의 노후발전소 효율을 현재 33%에서 50%로 개선할 계획이다.
한전은 본사에 이란 사업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이란 현지에 지사를 설립하여 한전이 제시한 4대 협력분야와 이란전력공사 및 이란 에너지부의 요청사항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조환익 한전 사장은 "다른 공기업, 민간, 연구소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이란 측과 함께 타당성조사 등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고, 이란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