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석 본부장 "국내 임산부 걱정할 필요없다" 밝혀
국토부, 해수부 지자체 협력 공항 선박 등 방제 조치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 메르스 공포 이후 또 다시 쓰나미처럼 밀려오고 있는 지카바이러스다.
국내에도 발생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확산되면서 정부 보건당국이 발빠르게 진화에 나선 분위기다.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지카바이러스 감염매개체인 흰줄숲모기로 인해 감염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국민들이 메르스처럼 감염성이 높거나 일반인들까지 모기에 물리면 마치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은 절대 아니기 때문에 안심해도 좋다"고 밝혔다.
지카바이러스(Zika virus)가 일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우려는 전혀 없음을 거듭 밝혔다.
다만 해외로 부터 들어오는 공항이나 선박으로 인해 들어올 수가 있어, 이를 차단하기 위해 정부부처와 각 지자체와 긴밀한 협력해 철두철미한 방역을 펴 감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기석 본부장은 "국민들이 우려할 만큼 공포스러울 정도의 수준이 전혀 아니다"라며 "현재 지카바이러스 감염될 경우 병의 증세를 정확하게 모른다"고 말했다.
아울러 "해외 사례처럼 지카바이러스는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염이 되지 않고, 아주 드물게 수혈이나 성접촉으로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해외여행후 한달간은 헌혈은 하지 말고, 남성경우는 피임기구를 필히 사용해줄 것도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여론에서 나타난 임신부의 공포로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보건당국은 "지카바이러스의 직접 연관성이 있는 소두증은 국내에는 아직 해당 바이러스가 없기 때문에 임신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아니다"면서 "지카바이러스 때문에 출산율을 더 낮아질까 더 우려된다"고 말했다.
일반인이 감염될 경우 소두증에 걸린다는 것도 넌센스라고 일축했다.
다만 질병관리본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바이러스가 2~3개월 동안 사는지 이 역시도 잘 알지 못하는 것이 현재까지 현실이다고 조심스럽게 언급했다.
특히 국민들이 잘못 아는 것처럼 안심해도 되는 부분은 국내에는 지카바이러스가 실존하지 않는다는 점과 사람간의 전염은 전혀 없다. 설령 걸려도, 치명적이지 않고 위협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놨다.
정기석 본부장은 "우리나라 흰줄숲모기중 1000마리 모기중 10마리 정도다. 문제는 이 모기에 한번 물릴 가능성도 없다."고 주장했다.
현재 지카바이러스 감염된 환자는 전세계 31개국에서 감염됐다.
질병관리본부는 흰줄숲모기는 동절기 조사 등을 통해 매개체에 대한 생태정보를 확보할 계획이다. 주요 5대 아열대로 가고 있는 제주, 부산, 통영, 목포, 완도 등지에 조사를 들어간다.
이와 함께 국토부, 해수부 등과 함께 공항, 선박 등 방역에 대해 실시하도록 했다.
매개모기 감시 강화를 위해 현재 운영중인 11개 거점센터 외 추가로 전국 단위 감염병 매개체 밀도 및 분포 감시망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는 질병관리본부와 공동으로 제작한 진료 가이드라인을 적극 홍보하고 임신부 대상 안내 리플릿을 추가로 배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