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환경데일리 |
[환경데일리 이은수 기자] 해양 생물다양성은 해양자원의 중요한 변수다.
지구의 80%인 30여만 종의 생물이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화의 급변화로 인한 개발과 이로 인한 환경오염, 과도한 어업 등으로 자연의 시계가 변하고 있다.
바로 무섭게 인간을 공격하는 기후변화 등으로 생물들의 인위적인 멸종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되돌아 오는 건, 사람에게 해가 되는, 의식주의 균형을 깨는 막다른 길로 내몰수 밖에 없다.
UN은 이런 긴박한 현실에서 새로운 자연의 진정성과 회복을 찾기 위한 대안중 하나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UN은 2000년부터 국제 생물다양성의 날을 지정, 인류사회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해오고 있다. 그러나 자연 파괴는 진행형, 해양오염의 기준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유넵한국위원회를 11월 6일(금) 오후 2시부터 4시반까지 서울 충무 아트홀 컨벤션센터(1층)에서 세미나를 연다.
이번 세미나는 해양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원인과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처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서다.
주제는 '해양 생물다양성 이슈 및 보전방안 모색'으로 정했다.
이번 세션 주제발표자로는 김병엽 제주대학교 돌고래 연구팀(경제활동으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 김도희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교수(기후변화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가 초청연사로 나선다.
신청서 작성 시 연사들에게 질문할 사항을 올려주시면 추첨을 통해 소정의 사은품도 있다.
문의 홈페이지 : unep.or.kr 페이스북 : facebook.com/unepkorea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