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과 유사한 기후 가져, 내달 개점 동남아 시장확대 테스트마켓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 지난 5월 상해를 시작으로 중국에 진출한 코리안디저트 카페 (주)설빙이 순조로운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 중국 최남단에 위치한 광동성에 상륙했다. 광동성은 상해와 절강성, 서안에 이어 설빙이 진출한 중국의 4번째 지역(성)으로 홍콩과 인접해 있는 만큼 설빙의 홍콩 진출 역시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광동성 진출은 중국기업인 ‘광주페이룡유한회사’(广洲沛隆有限公司)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이뤄졌으며, 지난 24일과 25일양일에 걸쳐 광동성의 성도인 광저우 번화가에 웬징루1호점과 완다광장2호점을 각각 430㎡(168석), 397㎡(150석) 규모로 동시에 개점했다.
![]() |
| ▲(좌측부터) 광주대용복장유한공사 회장 리춘융, 상해아빈찬음관리유한공사 회장 난청지, (주)설빙 김현범 부사장, 설빙 공식모델 임시완, 광동설빙찬음관리유한공사 대표 위멍난, 풍무집단 회장 쒸앤링, 항주설빙커피찬음관리유한공사 회장 쭝찐썽 © 환경데일리 |
광동성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 외식의 비중이 높은 대표적인 지역으로 그만큼 식음료 시장이 발달한 곳이다. 맛 뿐 아니라 매장분위기, 고품질의 제품, 서비스방식 등 다양한 부분에서 만족을 찾길 원하는 소비자가 많고, 특히 젊은 층들의 소비파워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프리미엄 디저트 브랜드 설빙에 대한 호응이 매우 높을 것으로 평가되는 곳.
설빙은 중국 진출 후 비교적 빠르게 안정화를 이룬 요인을 설빙의 고품질 메뉴와 차별화된 디저트 컨셉이 중국 소비자에게 높은 만족도를 주는 것으로 보며, 현재 광동성의 소비트랜드에 적합한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 최남단에 위치해 기후조건은 물론 풍성한 식재료를 활용하는 식생활까지 동남아권 문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향후 설빙의 동남아시아 진출과 빠른 안착을 위한 테스트마켓을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타지역에 비해 외부유입인구가 많은 것이 특징인 광동성은 이미 개점 준비에 돌입한 태국 매장과 더불어 설빙의 세계화를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여기에 광동성과 인접한 최대 관광도시인 홍콩 지역까지 진출하고 나면 세 지역의 시너지효과를 통해 코리안 디저트의 맛을 세계인들에게 전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설빙 김현범 부사장은 “외부유입인구가 많고 다양한 식문화가 공존하는 광동성은 앞으로의 설빙 해외진출확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차별화된 메뉴와 고품질의 식재료, 고급스러운 매장 분위기 등 설빙이 갖고 있는 강점을 통해 한국형 디저트의 맛을 세계로 알리는 데 더욱 주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설빙의 파트너사인 광주페이룡유한회사는 중국 유수의 의류제작회사로 설빙을 통해 식음료사업에 진출했다.
향후 안정적 운영과 식음료사업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광주설빙찬음관리유한공사’(广州雪冰餐饮管理有限公司)를 설립 중국 광저우 사업본부를 신설했다. 이번 광저우 2개 매장을 시작으로 향후 5년간 광동성에 150개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
2015년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원년으로 삼고 적극적인 해외진출에 나서고 있는 설빙은 중국에서 상해 150개 매장, 사천성과 산시성 그리고 중경지역에 60개 매장, 광동성에 150개 개점을 목표로 꾸준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