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자체 텀블러 들고 커피 주문하지 않는 현실
정부, 기업과 국민 대상 강력한 규제에 따라야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환경은 쓰레기 줄이기로부터 시작돼야 한다.
"일회용컵 줄이기 쉽지 않다. 이미 손님들의 습관화된 것을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없지 않아요. 보세요. 어디 텀블러 들고 온 손님 있나요."
지난 5일 마포구 마포비축기지에서 환경의날 기념식이 열리던 날, 국내 대형 커피점, 패스트푸드점, 프란차이즈빵점 등 업소 대부분은 머그잔 보다는 일회용 플라스틱컵, 플라스틱 빨대, 넵킨은 자유자재로 쉽게 뽑아가고 쓰고 버리는 일상이 계속됐다.
커피전문점 슈퍼바이저 점장은 "우리가 정부 정책과 환경문제를 알기 때문에 일회용컵 등을 줄이는데 적극 찬성하지만, 찾은 손님들이 대놓고 테이크아웃 형태로 주문해 이를 거절하기 어렵다."고 호소했다.
우리나라와 달리 호주 경우 상점에서 비닐봉지를 제공만 해도 벌금 500만원, 칠레는 비닐봉지 전면 금지 법안이 통과됐다.
![]() |
▲서울시 한 커피전문점 점심시간 전후 2시간 동안 지켜 본 결과, 일회용컵으로 주문하는 손님은 90%을 넘었다. |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그동안 플라스틱 줄이기 캠페인을 몰두하고 있다.
그린피스 환경컴페이너는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된다."며 "강력한 규제가 있어야 효력이 발생하고 있는 시대에 살고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너무나 빈약해 자원이 황폐화되고 동식물 균형이 깨지고 있다."고 환경부를 향해 강력한 규제를 거듭 밝혔다.
이런 상황속에 환경을 생각하는 에코시민들은 환경부가 커피전문점 등에서 1회용 컵(플라스틱 컵)이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 및 시민단체와 1회용 컵 사용 현장에 대한 집중 점검을 20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집중 점검은 5월 24일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맺은 업체의 협약 이행 여부를 평가하고 현장에서 개별 업소의 계도를 통해 1회용 컵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다.
우선 서울시 등 전국 지자체에서는 6월 20일부터 7월 말까지 각 지자체별 관할 구역 내의 커피전문점 등을 대상으로 현장 계도 및 홍보 활동을 펼친다.
각 지자체는 매장 내 1회용 컵(플라스틱) 사용 시 계고장을 발부해 1회용 컵 사용 금지를 촉구하고 매장 내 1회용 컵 사용금지 안내 포스터 등을 배부한다.
▲중국이 더 이상 플라스틱을 수입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면서 그 여파가 우리나라에 치명타를 쳤다. 날로 쓰레기는 늘어나고 그에 대한 규제는 기업규제라는 여론에 밀려 흉내만 내고 있는 실정이 다. 사진은 제15회 서울환경영화제에서 전시된 폐플라스틱을 이용 한 작품을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전시명 2050이 사는 세계 |
계도 기간 이후 8월부터 지자체에서 매장 내 1회용 컵 사용 등에 대한 현장 지도 및 점검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위반업소 적발 시 과태료를 부과하게 된다.
자원순환사회연대는 6월 25일부터 7월 6일까지 자발적 협약 업체(커피전문점· 패스트푸드점 21개 브랜드) 226개 매장을 대상으로 협약 이행 여부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한다.
자발적 협약 점검 요원들이 매장을 방문해 매장 내 다회용컵 우선 제공, 텀블러 이용 시 할인혜택, 협약 내용에 대한 숙지, 안내문 부착 여부 등을 점검한다.
이번 점검 결과가 취합되면 업체별 이행 실적을 공개하고, 이행이 미진한 부분에 대해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번 점검을 시작으로 협약 업체에 대한 정기·수시 점검을 지속해 점검 결과 협약 이행이 저조하고 이행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업체에 대해 협약 해지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그린피스 관계자는 "시행가능성이 희박한 현실에서 소비자에게 매력이 없는 텀블러 가져오면 할인혜택 등은 전혀 실효성이 없을 뿐더러, 근본적으로 자원순환정책을 소비자 입장에서 뒤짚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병화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은 "업계의 무분별한 1회용품 사용을 엄중히 관리해 나가겠다."며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친환경 소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