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공해차 대중화 탄소중립 실현 위한 정책의지 표명
17만 9000여 대 보급, 올해 총 13만 6185대 추가
수소화물 개발 시범사업 보조금 신설 국비 지원박차
한정애 장관 "세계 각국 이미 무공해차 시대 돌입"
"무공해차 대중화와 탄소중립 실현 보급 혁신 원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무공해차 대중화 시대를 준비하는데 잰걸음으로 현장을 찾았다.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부는 한국판 그린뉴딜 추진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수송부문에 탄소중립을 앞당기는데 총력전이다.
환경부의 계획대로 추진하면 올 연말까지 무공해차(전기·수소차) 30만 대(전기 이륜차 포함)가 대한민국 도로를 누비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장관은 취임 후 첫 현장 점검을 무공해차 보급사업장을 28일 현대자동차 전주공장과 완주군 수소충전소를 방문했다.
현대차 전주공장은 전기·수소 버스 등을 생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기·수소 상용차 공장이며, 완주 수소충전소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수소차(승용·상용)의 충전이 가능한 곳으로 국내 최대 규모다.
이 자리에서 한정애 장관은 무공해차 핵심인 수소차 생산시설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올해 환경부의 방침대로 무공해차 30만 대 달성을 위해 차량의 적기 공급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무공해차(이륜차 포함)는 총 17만 9000여 대가 보급됐고, 올해는 총 13만 6185대가 추가로 보급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전기차 12만1000대(승용 7만5000대, 버스 1000대, 화물 2만5000대, 이륜 2만대)수소차 1만5185대(승용 1만대, 버스 180대, 화물 5대)가 공급된다.
환경부는 올해 계획된 무공해차 보급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연말에 무공해차(이륜차 포함) 30만 대 시대가 열리게 된다.
특히, 환경부는 올해부터 대기환경 개선 효과가 높은 전기‧수소 상용차 보급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전기버스와 전기화물, 수소버스의 보급물량을 대폭 확대하고, 수소화물 개발 시범사업을 위한 보조금을 신설(국비·지방비 각 2억원)한다. 아울러, 이날부터 2021년도 무공해차 보급사업이 본격 시작된다.
환경부는 21일 올해 무공해차 보급 정책방향을 담은 보조금 체계 개편안을 발표했고, 이날 보조금 지침이 지자체에 통보되면 각 지자체는 공모사업 준비에 착수하게 된다.
정책방향을 보면 차량 성능향상 유도와 가격구간별 보조금 차등, 상용차 지원강화 등을 담았다.
한 장관은 "세계 각국은 이미 현실로 다가온 무공해차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올해는 무공해차 대중화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보급사업 혁신 원년이 되도록 수요 제고와 함께 공급 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