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방송 ·OTT· 뮤직비디오 등 창작자 이름 빠져
5년간 안무 저작권 민원 2건 , 조정신청 0건 불과
진종오 의원 300조 한류산업, 창작자는 이름 실종
국내 안무가에 대한 창작지원에 찬물을 꺼얹는지 수십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소외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진종오 의원(국민의힘)은 2025년도 국정감사 첫날 문화체육관광부를 상대로 안무가 성명표시권(성명권) 보호가 사실상 방치를 꼬집었다.
진 의원은 "정부가 향후 5년간 51조 원을 투입해 한류 산업을 300조 원 규모로 키우겠다고 하지만 창작자 권리보호는 뒷전"이라며 "음악방송, 뮤직비디오, OTT 어디에도 안무가의 이름은 없다."고 지적했다 .
이날 국감장에서 △KBS·MBC·SBS·Mnet 등 주요 음악방송 △유튜브 뮤직비디오 및 퍼포먼스 영상 △OTT 및 영화 콘텐츠 등에서 안무가 이름이 전혀 표기되지 않거나 형식적으로만 나열되는 사례를 제시했다.
또 "일부 안무가는 자신이 만든 안무를 SNS 에 게시했다가, 소속사 요청으로 삭제하거나 일정 기간 뒤에만 게시하도록 제한받는다."며 "창작자의 "성명표시권'이 기획사 재량에 의해 검열당하는 현실은 심각한 인권 문제이자 산업의 불균형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말했다 .
진 의원은 "K- 팝은 이제 듣는 음악이 아닌 '보는 음악'이 됐다."며 "이제는 음악 못지않게 핵심인 안무창작자에게도 동등한 법적 보호와 표기 의무 를 부여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이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지원사업관리규칙 제 26 조는 저작권 귀속을 기관 중심으로만 규정하고 , 창작자 개인의 권리보호 조항은 전무하다."며 "정부 지원금으로 만든 콘텐츠조차 안무가 · 연출가 등의 권리가 배제되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한국저작권위원회 자료를 인용하며 "지난 5년간 안무 저작권 관련 민원은 2건 , 조정신청은 0건에 불과하다"며 "피해가 없어서가 아니라 제도적 장치가 없어 문제 제기조차 못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
진 의원은 "문체부가 추진 중인 안무 표준계약서 제정도 수년째 '협의 중'이라는 말만 반복된다." 며 "기획사와의 불균형한 계약 구조 속에서 창작자들이 실질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음악방송과 OTT 등에서 안무가 표기 의무화를 추진할 계획이 있는지, 구체적 일정과 방식으로 보고하라 ” 고 재차 지적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창작자가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성명표시권도 제도적으로 녹여내 안무가를 비롯한 창작자들이 확실히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환경데일리 = 고용철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