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스마트팜 농기업 중앙아시아 등 3개국 진출 기대
신한에이텍,현대금속농공,화신농건,리얼팜 등 14사 참여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한국형 스마트팜 도입에 관심 있는 아시아 기업들이 늘어 나고 있다. 척박한 토양 등 기후조건에서 농작물 수확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스마트팜 기술력이 접목된 농사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런 한국형 스마트팜 도입과 기술력 자문, 현지 시설구축에 대한 설명회 겸 비즈니스 상담이 성대하게 이뤄졌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박철수)은 5일 서울 더케이 호텔에서 한국형 스마트팜 도입에 관심 있는 아시아 12개국의 기업 관계자와 엠마뉴엘 피뇰 필리핀 농업부 장관 및 라울 에르난데스 주한필리핀대사를 포함한 공무원들 약 70여명을 초청 'K-스마트팜 글로벌 비즈니스 다이얼로그'를 개최했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K-스마트팜 글로벌 비즈니스 다이얼로그는 한국형 스마트팜의 기술과 해외진출 사례 등을 외국 기업 관계자와 공무원들에게 소개, 한국의 스마트팜 관련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마련됐다.

이자리에는 농정원의 방동서 지식융합본부장이 부여 우듬지 농장을 사례로 한국 스마트팜 기술의 우수성 설명에 이어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의 이시민 팀장이 한국 스마트팜 기술의 해외진출 사례들을 소개했다.
KOICA 정우용 이사와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김신길 이사장은 축사를 통해 우리 기업의 높은 경쟁력을 강조했으며 ODA를 포함 정부와 민간과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신한에어텍, 이지스, 화신농건 등 스마트팜 관련 한국 기업 14개사와 아시아의 기업이 1대1 매칭으로 비즈니스 상담을 실시했다.
그 결과, 아시아 국가의 기업들과 공무원들에게 우리의 스마트 팜 기술과 기업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었으며, 총 6건의 해외 진출 관련 MOU를 맺는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서 KOICA의 기업협력사업으로 추진 중인 '필리핀 시설팜 구축을 통해 토마토 생산 최적화와 고품질화 지원 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농정원필리핀 농업부 간 업무협약도 진행했다.
협약에 따라 필리핀 바기오 지역에 3360㎡ 규모의 시설팜을 신규 구축하고 현지 농가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수익창출 모델로 만들 계획이다.
농정원 박철수 원장은 "이번 행사로 한국의 스마트팜 관련 업체들이 해외 기업, 공무원들과 직접 만나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초석을 다졌다."며 "앞으로도 우리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을 마련하는 데에 농정원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