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 6차산업화에 앞장 고부가가치 산림복합경영 기술 발굴
▲충청북도 충주에 위치한 보늬숲 산지 양계장 전경 |
현장 방문에는 이석형 회장과 류인철 산림조합 충북지역본부장, 민도홍 산림경영부장, 김재수 충주시산림조합장 등은 산림조합이 산림 축산 확산에 적극적으로 앞장서 산림의 이용가치 증대와 안전한 먹거리 제공, 생태관광과의 연계로 임업인의 소득향상에 기여하는데 노력하자고 입을 모았다.
산지 양계장을 운영하고 있는 김범씨는 충남대 농업경제학과를 졸업한 이후 부모님이 경영하는 밤나무 농장에서 약 3년 전 산림과학원의 연구과제에 지원, 산림과학원과 산지육계를 시작했다.
친환경 사육을 기반으로 약 1200마리의 닭을 키우는 산림축산 선도모델 장소로 최근 조류독감과 살충제 달걀 파동에도 건강한 사육하며, 환경 유지토종닭 사육에서 산란계로 전환, 하루 약 700개의 건강한 달걀을 생산하고 있다.
이석형 중앙회장은 보늬숲 김범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산지양계에 도전, 꿋꿋하게 추진하고 있는 점을 격려하고 "산림조합이 임업의 6차산업화에 앞장서는 고부가가치의 산림복합경영 기술을 적극 발굴 보급하고 산림경영 지도사업 역량과 유통 역량을 확충, 산림축산 임업인이 안심하고 산림 축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