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에코텍·쌍용C&E와 업무 협약
생활폐기물 감량 탄소 중립 선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2026년이면 수도권매립지에 생활계 쓰레기는 반입이 안된다. 이렇게 되면 서울시와 경기도의 정주인구가 많은 도시는 치명타를 입을 수 밖에 없다. 사실상 발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고양특례시 경우, 시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 자원화가 불가피할 수 밖에 없다.
자원화는 크게 2가지다. 열분해유 처리시설 구축 하느냐 마느냐, 종량제 생활쓰레기봉투 배출 최적화를 위한 시민들의 절대적 협조가 관건이다.
현재 고양시는 깊어졌다. 고양시의회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소각장(운영기간 만료 2030년) 이전 및 확대 등을 다각도로 자체 자원화 관련 연구용역이 곧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달 24일 고시와 함께 소각장 후보지를 선정해 주민 설명회와 환경영향평가까지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소각장은 재활용 자원화율을 끌어올려야 하는데 이에 대한 명확한 배출량과 함께 수거율 대비 자원회수시설 투자대비 효율 극대화다.
시 자원순환과 팀장은 "큰 시민세금으로 만들어지는 중요한 시자원순환 정책을 펼치는 만큼 철저한 기술검증과 향후 소각시설 250톤 처리량에 따른 위험리스크가 없도록 시민선정위원회까지 구축해 올바른 순환경제사회로 고양특례시의 위상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고양시는 탄소 중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 재활용 선별 전문업체인 주식회사 CI에코텍과 자원화 전문업체인 쌍용C&E와 시청 열린시장실에서 지난 19일 업무 협약식을 열었다.
이동환 시장을 비롯해 CI에코텍 조일호 대표이사와 쌍용C&E 조광재 상무가 참석한 협약식에서 민간 부문의 생활폐기물 감량 기술적용 및 활용사업 협업을 위해 마련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시는 생활폐기물 감량 위한 기술이행과 적용대상 사업지 발굴 및 시행 ▲CI에코텍은 생활폐기물 감량 신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쌍용C&E는 시 감량 및 자원화(선별)된 생활폐기물 대체자원 활용 연구소 신설 등을 투자 약속했다.
이동환 시장은 "2022년 한 해 동안 고양시의 11만2107톤의 생활폐기물 발생량 중 60%인 6만7474톤의 생활폐기물이 수도권매립지로 반입처리 됐다."며 "기업, 시민과의 협력을 통한 생활폐기물 감량 정책 개발로 탄소중립 도시로의 이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양시는 2026년 생활폐기물 수도권매립지 반입금지 정책에 따라 폐기물처리시설 신규 건립과 생활폐기물 민간위탁 사업을 추진을 통해 순환경제 사회로의 국가 정책에 동참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환경부는 순환경제사회 중점 민관사업을 적극 권장한 가운데, 열분해유 생산 처리기술도 도입할 필요성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전남도 진도권에 설치 가동중인 열분해유 생산공장인 (주)에이치씨알 조상태 대표는 "국내 열분해유 공장은 자신감을 가지고 추진해온 결과, 러시아에 열분해유 플랜트를 수주한다."며 "자원회수시설이 서울 마포구, 파주시, 목포시, 고양시 등에서 이뤄지고 있는데 열분해유 시설은 중요한 핵심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