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센터, 기후위기대응에너지전환·지방정부협
"탄소중립 달성과 지역문제, 두 마리 토끼 잡아야"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주춤하면서 해상풍력 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도 시들고 있다.
탈원전과 정반대로 기우려진 에너지정책이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비중에 반감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다. 이런 가운데 지방경제가 휘청거리는 2023년은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 구축은 더 절실한 상황이다.
국내 해상풍력 단지 조성은 제주도, 전남 신안, 군산 새만금, 보령 앞바다로 각축전이다.
18일 기후위기대응에너지전환·지방정부협의회(권익현 회장, 부안군수)는 충남 보령시, (재)기후변화센터와 보령머드테마파크에서 해상풍력 산업 발전과 지역활성화 전략 모색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세미나는 국내외 해상풍력 산업 및 보급 동향과 공공주도 해상풍력단지개발 사업의 경과를 돌아봤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유관 산업 발전과 지역 활성화를 위한 상생 전략도 찾기 위해서 마련됐다.
김동일 보령시장은 개회사에서 "과거의 보령은 석탄화력 중심의 발전기업 기반 에너지 도시에서 미래에서는 에너지전환, 탄소중립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해상풍력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해상풍력에 대한 기대를 놓치 않았다. 그는 "이를 통해 지역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고 국가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창섭 (재)기후변화센터 공동대표는 환영사에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며 "지자체간 적극적 협업과 관련 사업자와의 연결을 통해 타이밍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영규 한국중부발전 기술안전본부장은 축사를 통해 "한국중부발전은 지역 활성화 및 상생에 기여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힘을 실어줬다.
발제시간에는 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실장은 '해상풍력 국내외 동향 및 지방정부 역할'을 발표하며 해상풍력산업 활성화과정에서 애로사항을 짚었다. 최 실장은 "주민수용성, 항만 구축, 인허가 협동 등의 지자체 역할이 크게 작용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두 번째 발제한 김윤성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산업발전과 지역 활성화 및 상생전략'을 발표했다.
김 위원은 다양한 해상풍력의 지역경제효과 사례와 지역상생을 위한 이익공유 방식을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보령시에서는 이용희 에너지과장은 '공공주도 해상풍력단지 개발 1호' 지역인 보령의 사례를 통해 "수도권을 벗어난 이곳도 지역경제 침몰과 일자리 부족으로 침체되고 있다."며 "그래서 지역경제 활성화 대안으로 해상풍력단지개발 사업은 매우 기대치와 지역산업에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토론에서 이정석 한국에너지공단 풍력보급팀장은 '공공주도계획입지'를 강조하며 "지자체·어민·지역주민·중앙정부·관련기관 전문가 등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공장 KEI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방정부 역할을 강조하며 ▲지역상생방안이 포함된 종합계획수립 ▲총괄책임제도 ▲담당자의 연속성▲담당조직의 신설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최지원 기후위기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장은 "탄소중립달성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 녹색산업을 만들어 가는 지방정부의 선도적 역할은 당연한 액션"이라고 강조했다.
박재필 군산대 교수는 마무리 발언을 통해 "서해안이 해상풍력의 중심이며 특히 보령은 해상풍력의 거점으로 나아간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대했다.
이번 포럼의 발제자료는 (재)기후변화센터 누리집(http://www.climatechangecenter.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