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권역별, 맞춤형, 특화과정교육프로그램
물기업 역량 강화 해외진출 활성화 역할 목표
K-eco, K-water, 물기술인증원, IWSSM 협업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2023년도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국내 물산업 기둥이 되고 있는 혁신형 중소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기대가 모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해외 물산업 현장으로 투입하도록 고급인력 양성과 현장에서 적용하는 다양한 고유 업무 강화를 위한 역량 과정 교육이 필수다.
물산업 교육의 산실인 한국물산업협의회(KWP, 회장 홍승관)은 지난해 이어 2023년도 물기업 재직자 및 관계 기관 대상으로 집중교육을 실시한다.
KWP가 추진하는 심화교육은 권역별, 맞춤형, 특화과정교육으로 분류돼있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물기업 역량 강화를 통한 해외 진출 활성화에 교두보를 역할한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교육 운영체계는 환경부 산하기관에 협업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환경부를 축으로 교육사업 협의체인 K-eco 한국환경공단, K-water 한국수자원공사, 물기술인증원, IWSSM이 참여한다.
교육대상은 국내 물기업 또는 유관기관 재직자로 한번 교육 수강생은 10명에서 30명 내외다. 교육 내용은 총 4개의 커리큘럼으로 구성돼 있다.
먼저 '글로벌 역량을 갖추기 위한 기초 과정'(물산업 전공 기초, 비즈니스 영어)다. 두 번째는 권역별 전문가 육성인다. 해외 권역별 동남아, 중동, 북미 파트별로 집중 교육 내용을 담고 있다.
맞춤형 전문가도 있다. 해외진출 프로세스별 전문가 양성 과정이다. 여기서는 해외진출 마케팅, 벤더등록, 공공조달, 국제계약을 배우게 된다.
마지막으로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도 있다. 기업 수요에 따른 교육을 통한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목적으로 국내 주요 행사연계, 해외사업설명회, 해외진출집중(시범), 기업 맞춤으로 진행한다.
2023년도 교육 프로그램 고도화 배경에는 지난해 역량강화 교육, 국내 1600개 물관련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근거로 만들었다.
KWP 심유섭 사무국장은 "우리 협의회는 한국상하수도협회에서 여는 워터코리아, 환경보전협회에서 여는 엔벡스와 해외 국제전시회와 연계해 참여 기업 대상으로 시장 정보 및 조사방법 등의 특화 과정을 운영해왔다."며 "국내 물시장은 넘어 해외 물시장의 다양한 정보, 현지 국가의 공공기관의 교류를 통해 대한민국 물산업 부흥에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회장은 "물기업 해외진출은 활성화는 필수인만큼 해외진출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고급 전문가를 제대로 키우지 않으면 안된다."며 "우리 KWP가 그 중심에서 환경부 산하 기관 및 물관련 엔지니어링 기업들과 교육을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물산업협의회는 물산업진흥법에 의한 혁신형 물기업 지정 지원 제도 위탁기관으로 R&D, 수출실적 등이 우수한 중소 물기업을 발굴해 환경부 산하기관에 유기적으로 사업을 지원한다."고 덧붙었다.
올해 물산업 전공 기초 과정으로 8월8일(서울역 인근 회의실) 10시부터 4시간을 시작한다. 8월 10일 물산업 비즈니스영어 교육과정이, 8월 17일 동남아지역 물시장 진출(입문/실전), 9월21일 북미지역 물시장 진출, 10월12일 중동지역 물시장 진출에 대한 노하우와 현장의 실증도 현장 실무자들이 강사로 통해 배우게 된다.
특히 물산업 해외 진출 마케팅(WEFTEC 2023 설명회 연계) 교육은 6월 말이나 7월 초에 연다. 7월 20일 물산업 해외 공공조달 입문 교육, 7월 27일 물산업 해외 공공조달 실전교육을, 9월중에 해외 진출 마케팅, 10월 19일은 물산업해외 벤더 실전교육을 비즈허브 서울센터에서 진행한다.
▲한국물산업협의회는 물산업 해외 공략은 혁신적인 기술과 연계되는 인재양성이 필수라고 유럽, 중동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끌어올리고 있다. |
물관련 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해외 진출 집중 과정(마케팅, 협상, 계약)은 10월 25일 ~ 27일까지 연중 프로그램은 마련돼 있다.
모든 교육 프로그램과 참가 신청 문의(https://forms.gle/e9uNivbBCSYVLWGo8), 메일(wedu@kwp.or.kr) 접수받는다.
한국물산업협의회(KWP) 홈페이지(http://www.kwp.or.kr) 공지사항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담당자 김슬기 과장(02-2634-6784), 석태용 사원(6794)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