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중 국민의힘 의원 "신임 시장이 결정해야"
"10년만에 다시 800억원 투입 이유 근거 없다"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서울시는 11월부터 800억원의 예산을 투입,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전격 발표했다. 이 사업은 고 박원순 시장이 숙원 사업 중 하나로, 미세먼지 저감 차원의 푸른 서울 만들기 차원에서 추진하려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서울시당 위원장인 박성중 국회의원은 "마치 전임 박원순 시장의 유지를 받들기라도 하듯 졸속으로 처리하려는 서울시에 상당한 유감이다."며, "도대체 누구를 위한 재구조화 사업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번 서울시의 결정은 절차적으로나 시의적으로 상당한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3가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박성중 의원 |
첫째, 이번 발표는 시장 권한대행이 발표한 '졸속 행정'이다며 9월 28일 김학진 행정2부시장이 서정엽 권한대행의 병가 상황에서 발표했다. 800억원대의 시민 혈세가 투입되는 중요한 사업을 내년 4월이면 취임하는 새로운 시장이 추진해야 함에도 졸속으로 추진하려는 의도를 서울시에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둘째, 2009년 700억원을 투입 조성한 광장을 다시 800억원을 투입 광장을 뒤엎는 '혈세 낭비'다.
전 오세훈 서울시장은 2009년 700억원을 들여 현재의 광장과 주변 도로를 블록으로 바꿨다. 하지만 불과 몇년이 지나지 않아 도로는 울퉁불뚱, 누더기 도로가 돼 비가 오면 시멘트 빗물이 차량 주행에 튀기거나 소음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켰다.
박성중 의원은 10년만에 다시 8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재조성한다고 하면서 이유와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다만 이유가 있다면 전임 박 시장이 추진한 사업을 유지로 받들어 추진하려는 서울시의 고집만 있어 보인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잔여 임기 5개월의 권한대행이 중요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월권'이라고 지적했다.
'광화문 광장'은 서울 정도(定都) 600년을 맞이한 1994년, 광화문광장 조성 아이디어가 처음 나온 이후 국가를 대표하는 얼굴과도 같은 곳이다. 이런 장소를 재조성하는 것이 정식 시장도 아닌 '시장 권한대행'이 결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의문이다. 권한대행은 과도기적 상황을 잘 관리해 정식 권한자가 오기까지 상황관리만 하면 되는 자리이다.
이에 해당 프로젝트는 내년 4월 새로 선출되는 신임시장이 새로이 재검토, 정치적인 모든 책임을 걸고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고 서울시는 더 이상 ‘오기 부리기’당장 그만두고 해당 사업의 추진보류를 발표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거듭 반대 입장을 표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