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입곤란 지역 주거가 71.7%, 초동대처 우려
서울 90.5% 부산, 대구 순 경남 가장 29% 낮아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소방차가 화재현장에 가장 빠르게 도착 불을 끄는 목적이 있다. 하지만 화재발생 신고에서 도착까지 5분 내에 도착하지 못하는 주장이 일선 소방서 조사 결과 사실로 나왔다.
이는 주택가 불법 주차로 화재 등 비상시 현장에 도착하는데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인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민주평화당, 광양·곡성·구례)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소방차 현장 도착 현황'자료 분석한 결과를 통해 밝혔다.
이 자료에 따르면 소방차의 5분 이내 현장 도착률은 해마다 하락하여 올해 6월 기준, 55.6%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5년간 전국 소방차 평균 5분 이내 현장 도착률을 보면, 2014년 61%, 15년 61.9%, 16년 58.8%, 17년 57%에서 올해 2018년(6월 기준)의 경우 55.6%로 매년 낮아지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서울이 90.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부산이 84.4%, 대구가 7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남의 경우 도착률이 29.9%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 충북 36.6%, 강원 3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방차의 현장 도착률이 해마다 떨어지는 이유는 불법 주차차량 증가가 가장 크다.
골목이나 이면도로에 승용차 등 불법 주차도 많은 뿐더러 긴급상황인 소방 출동로가 확보되지 못한 것으로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소방청은 '소방차 진입곤란 기준'을 도로 폭 3m 이하 또는 이동이 불가능한 장애물, 소방차 진입곤란 구간이 100m 이상인 지역 및 기타 상습주차 등으로 인해 상시 소방차 진입 및 활동에 장애를 초래하는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소방차 진입곤란 지역 현황’ 자료에 따르면, 도로폭이 좁거나 이동이 불가능한 장애물로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구간은 2018년 6월 기준으로 전국 1356곳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644곳, 부산 181곳, 인천 129곳, 경기 85곳, 대구 76곳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 보면, 주거지역이 972곳으로 전체의 71.7%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상업지역 298곳(22%), 농어촌·산간·도서지역 57곳(4.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인화 의원은 "분초를 다투는 화재 사고일 경우, 소방차가 골든타임 내에 도착해 신속한 초동대처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면서 "그런데 골든타임 내 소방차의 현장도착률이 떨어진다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장할 수 없다. 소방청은 각 시·도별로 소방통로 확보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진입곤란지역에는 비상소화장치 설치 등 대비책을 철저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