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지자체·NGO 토론
육해상 보호 30% 확대, 훼손 생태계 30% 복원
침입외래종 유입률 및 정착률 50% 감소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최근 환경부가 여론조사기관인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6월 20일부터 6일간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민인식을 전화면접을 통해 조사한 결과가 발표했다.
주요 조사 결과, 국민의 약 87%가 생물다양성 용어를 들어 봤고, 국민의 약 90%는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다만 42%의 국민은 생물다양성 용어를 들어봤으나 잘 모르고, 오직 10명 중 1명(약 10%)만이 명확하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다양성 정책을 국민에게 알리는 정부의 노력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BD COP15)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196개 당사국이 합의한 주요 실천목표이며, 이는 지자체와 시민사회의 참여 없이는 달성하기 힘든 과제들이다.
![]() |
▲쿤밍-몬트리올 프레임워크GBF)의 의의를 주제로 허학영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하고 있다. |
이에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박정 국회 환경노동위원장과 공동으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의 주류화와 이행력 강화를 위한 지자체, 시민사회 토론회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21일에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졌다.
이날 토론회에 박정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임상준 환경부 차관, 15개 시·도 관계자, 시민사회활동가, 관련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참여 시도는 서울시,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도, 제주특별자치도다.
토론자로는 '지역생물다양성전략 과거와 미래' 박연희 소장(이클레이한국사무소), '서울시 생물다양성전략 수립·이행' 오충현 교수(동국대), '국가-지역생물다양성전략 연계 방안' 구경아 실장(KEI)이 자리했다.
![]() |
▲생물다양성재단 최재천 이사장(이화여대 석좌교수)는 생물의 가치를 인간의 우월적인 지배가 아닌 함께 공존 하는데서 비롯된다며 지금의 기후위기 등 다양한 자연문제로 인간 세상을 위태롭게 하는 것 자체가 우리 스스로 파괴하고 훼손한 결과물이라고 강조했다. |
이어서 '쿤밍-몬트리올 프레임워크GBF)의 의의'에 대해 허학영 박사(국립공원공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수립 경과' 이상수 사무관(환경부). '이행강화 위한 시민참여 방안' 최승희 사무처장(생명의 숲)이 각각 발표했다.
환경부는 국민 인식 증진과 참여를 위한 대국민 정책 아이디어 공모(8월), 산업계·청소년단체 등 간담회(9월), 대국민 공청회(10월) 등 다양한 경로로 소통을 확대할 계획이다.
박정 국회 환노위원장은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은 생물다양성의 체계적인 보전과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범 부처 최상위 계획"이라며, "전략이 수립되면 국회 차원에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이번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은 우리나라의 생태계 보전은 물론 국제적 위상과도 연관된다."라면서 "이행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도 지자체, 시민사회 목소리를 더욱 경청하겠다."고 밝혔다.
![]() |
▲DMZ 오픈랩 생태평화 퍼포먼스를 열고 있는 DMZ OPEN 페스티벌 현장 |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