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형수 의원, 환경부 먹는 물 안전대책 시급 수립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서형수 더불어민주당(경남 양산시을)이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6년 1006개의 관정중에 413개, 약 42.8%에 이르는 관정이 기준치 초과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로 인해 침출수 유출 등으로 인한 주변지역의 2차 환경오염 가능성에 제기되고 있다.
서형수 의원은 24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서 열린 2017 환경부 국정감사장에서 4대강 수계별 비점 오염원 부하량에 대한 질의를 통해, "비점오염원 주 원인을 가축분뇨 때문"이라며 특히 총 209건 중 단 3건만 연구용역과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수록 오염이 올라가는 것은 전라북도가 가장 높은 81.3%, 이어서 충북, 경남, 충남, 인천시가 절반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침출수 유입되는 조사 원인을 관정을 통해 확인하고 있지만, 침출수 원인에 대해서는 비관정, 관정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조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형수 의원은 "가축매몰지 주변 관정 오염실태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각하다."면서 "환경부는 철저한 매몰지 관리를 통해 치물수 확산방지조치와 사후관리까지 철저하고, 특히 상수도 미보급지역의 경우 먹는 물 안전대책을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한편 서 의원은 오후에 진행된 추가 질의를 통해 국립환경과학원에 대한 연구비 지원 부족을 지적한 자리에서 원장은 "과학원 전체 예산 1030억원이고, 환경산업기술원 5000억원으로 안다며 우리 과학원 연구원들은 자연계열 사업들이 집중하고 있고 강점은 가지고 있을 뿐더러 본부(환경부)와는 한몸이다."라면서" 국제적인 위상을 가지기 위해서는 우수논문 쓰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하게 어필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