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 취소된 기업 부도덕성도 문제, 소비자 확인필요
[환경데일리 정유선 기자]지금까지 친환경마크 인증만 1만7000여개 인증됐다.
정부가 인증한 마크가 제대로 역할에 맞게 잘 사용하고 있는지, 인증취소되는 이유는 어떻게 되는지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문제가 제기됐다.
24일 환경부 산하 기관 2017 국감에서 신보라 자유한국당 의원은 친환경마크에 대한 재인증 신청할때, 비율은 10% 불과하고, 친환경재인증 비율 낮은 이유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배경에는 취소 또는 인증기간이 만료되는 기업들이 재인증을 받지 않거나 낮은 이유는 해당 기관에서 사전에 알림 등은 관리 소홀이나 미흡해서 나타난 것으로 지적했다.
특히, 신보라 의원은 인증 취득했는데 취소된 부분을 알리지 않는채 마치 인증을 받고 있는 것처럼 계속해서 회사 홈페이지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홍보하고 있는 기업들이 대부분이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화장지 길이 미흡해 인증마크를 취소됐는데 온라인 상에서 버젓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다른 기업은 인력채용 정보사이트에서 친환경 기업으로 홍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괸리체계가 부실한 증거"라고 말했다.
친환경인증마크 관리부실 원인에 대해, KEITI 원장은 "사업 전담부서가 사후관리 인력 부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EITI 내 인증전담 사후관리 인력은 겨우 2명뿐이다.
KEITI 원장은 "인증기업 기준 준수를 하고 있는지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인력배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었다.
아울러 "인증 사각지대되는 기업을 찾기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보라 의원은 "인증취소기업에 대한 다시 기회를 주기 위해서 해당업체에 메뉴얼 작성 발송하는 것도 좋겠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