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경 조사설계 용역 착수 2023년 사업준공 목표 추진
시 투자유치 촉진조례 전면개정도 원안가결, 유치 발판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고양시는 2016년 6월 선정된 '고양 일산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이 2월 9일 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통과와 3월 22일 경기도의회 원안가결 후 5월 4일 고양시의회 제221회 임시회에서 신규투자사업 동의(안)이 원안가결로 통과되면서 모든 사전 행정절차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고양시의회 추진 동의안에 따르면 '고양 일산테크노밸리'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AR/VR(증강/가상현실) ▲IT 기반 콘텐츠산업 ▲IT 융합의료기술 ▲자율주행 및 AI 등 신산업 관련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사업규모는 일산서구 대화동과 법곳동 일원 약 79만 5000㎡(24만평)으로 총사업비는 7121억 원에 이른다.
시가 사업승인권자이며 경기도와 고양시, 경기도시공사, 고양도시관리공사가 공동사업시행자로 사업방식은 도시개발사업(수용방식)이다.
고양시의회 상정에 앞서 '고양 일산테크노밸리'사업은 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검토를 받았다. 심의 결과 수익성 지수(PI)가 1.0138로 기준인 1.0을 넘었고 내부수익률(FIRR)도 5.13%(기준 4.5% 이상)로 재무성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 됐다.
이번 회기에서 시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시는 경기도, 경기도시공사, 고양도시관리공사와 함께 이르면 8월 중순경 일산테크노밸리 조사·설계 용역을 착수하고 본격적인 후속 절차를 이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은 2020년까지 실시계획 승인 등 모든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2021년 사업 착수할 예정으로 부지조성 공사가 끝나는 2023년경에 기업 입주가 시작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 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임시회에서 고양시 투자유치 촉진조례 전면개정 안건도 원안가결 통과돼 투자유치위원회 확대, 기업유치 협력관 구성, 중소기업육성기금 지원 등 법적 기반이 마련되면서 투자유치 활동도 본격 가동할 수 있게 됐다.
시는 공공분야 지원 전략으로 기업의 성공적 안착, 청년 창업 및 일자리 지원 등을 위해 경기북부 공공지원센터 건립도 경기도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히면서 국내외 가시적인 투자유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한편,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홍보활동도 전방위로 펼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