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 한글날 맞아 2513종 한글이름 부여
![]() |
국립생물자원관은 한글날을 맞아 특별한 이름, 순수한 한글이름을 새롭게 부여했다. 그 숫자만 무려 2513종에 달한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지금까지 사용된 곤충이름은 대부분 라틴어로 된 학명만 있고 한글 이름이 없었다.
이에 따라 이들중 국내 곤충중 한글 이름을 달아도 손색이 없는 2513종에 대해 한글 이름을 지어주는 사업을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앞서 우리거미파리, 두눈긴가슴하늘소, 다정큼나무이, 한국왕딱부리반날개 등 곤충 50종의 한글 이름 초안을 발표했다.
국립생물자원관측은 "한글 이름을 붙이게 된 곤충들은 자연생태학적으로 곤충만의 습성과 겉모습 등을 토대로 한글 이름을 붙였다."고 설명했다.
다정큼나무이는 다정큼나무를 먹이로 삼는 생태적 습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두눈긴가슴하늘소는 곁모습이 눈처럼 생긴 동그란 2개의 점을 가진 형태적 특징때문에 이름이 붙여진다.
국내 곤충은 현재까지 1만6993종이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15%인 2513종은 학명만 붙어 있다. 곤충의 국제표준 명칭인 학명은 '국제동물명명 규약'에 따라 라틴어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전공자가 아니라면 뜻을 이해하기도 어렵고 읽기조차 쉽지 않다.
이번 한글 곤충이름 작명에 대해 국립생물자원관측은 "전국 대학과 연구소 소속 곤충 전문가들과 곤충 이름 초안을 작성한 뒤 국문학자와 생물학자들로부터 검수를 받아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