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지와 위치추적기 부착 집중 관찰 계획
저어새 복원 전제적 보전전략 고도화 집중
[환경데일리 문종민 기자]저어새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보전을 위한 집중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국립생태원과 서울대공원은 13일 인천시 강화군 선두리 갯벌에서 인공증식한 개체에서 태어난 멸종위기 야생생물
(Endangered Species, EN)Ⅰ급 저어새 3마리를 야생으로 보냈다.
이번에 방사하는 저어새 3마리는 서울동물원이 2016년과 17년 강화·영종 갯벌 번식지 내 수몰 위기에 처한 알을 구조해 그해 서울동물원에서 인공증식 방식으로 부화시킨 암수의 2세다.
| ▲인공부화로 태어난 수몰둥지 저어새 새끼 모습 |
이들 방사 저어새는 지난해 2월(1마리)과 3월(2마리) 서울동물원에서 태어나, 올 4월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경북 영양군 소재)의 자연적응 훈련장으로 옮겨져 비행·사냥·대인기피 등의 훈련을 거쳤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방사 후 생존 여부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이들 저어새에 가락지와 위치추적기를 부착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저어새는 전 세계에 6600여 마리밖에 살지 않는 여름철새이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우선복원대상종),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종(EN)으로 지정됐다. 해안 갯벌이나 강 하구에 서식하며, 우리나라 서해안에 전세계 번식쌍의 약 90% 이상(2000여 쌍)이 살고 있다.
멸종위기종은 개체수가 극단적으로 줄어 확실히 멸종으로 가고 있는 동식물군을 칭한다. 레드데이터북(Reddata Book)은 멸종 위험성이 가장 큰 생물종을 멸종위기종으로서 순위를 매긴다. IUCN(국제자연보호연맹)에서는 멸종의 위험도를 기본으로 야생동물을 멸종종, 야생멸종종, 멸종위기Ⅰ류, 멸종위기Ⅱ류, 준멸종위기류 등 7계급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나라에 따라서 여기에 위급종, 회소귀종, 해당없음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국립생태원과 서울대공원은 저어새 복원을 위해 ▲위험에 처한 알-유조(둥지를 떠나기 전·후 알 및 새끼) 구조 ▲인공양육 ▲자연적응훈련 기법 등을 개선하며 저어새 보전전략을 고도화하고 있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방사는 저어새 야생 개체군 관리 연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선제적 보전 조치의 적용을 과학적으로 평가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조류 개체군 관리에 활용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먹이사냥 훈련중인 저어새 |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