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활성화 기여, 환경시설분야 4,300명 일자리창출
하폐수처리, 상수관망, 생태하천복원, 폐기물처리시설
올해 시설공사 발주건수는 모두 108건으로 지난해 발주실적(133건, 6834억 원)보다 19%인 25건이 감소했으나, 발주금액은 8988억 원으로 32%인 2154억 원이 증가했다.
환경공단은 전체 환경시설공사 발주금액 가운데 60%인 총 5371억 원에 해당하는 73건을 상반기 내 조기 발주해 건설경기 살리기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향후 2년간 최대 약 4300명이, 올해에는 최대 약 2000명의 신규 일자리가 환경기초시설 관련 업종에서 창출될 전망이다. 총 108건의 환경시설공사 가운데 2건은 일괄(턴키)입찰방식으로, 나머지 106건은 일반심사 등 일반입찰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일괄입찰은 이천시 공공하수도시설 설치사업, 서산시 자원회수시설 설치사업 등 2건으로 공사금액은 총 1078억 원이다.
전체 공사를 시설별로 살펴보면, 하·폐수처리시설설치사업 49건, 상수관망사업 14건, 생태하천복원사업 5건, 폐기물처리시설설치사업 13건, 비점오염저감시설설치 및 유해대기측정소설치 등 기타 환경시설 27건 등으로 그 중 45%가 하·폐수처리시설설치사업에 집중됐다.
이중 최대 규모의 공사는 678억 원 규모의 '서산시 자원회수시설 설치사업'으로 올 9월에 발주할 예정이다.
서산시 일대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소각처리(200톤/일)해 주민생활환경 개선을 도모했다.
일괄입찰방식을 제외한 100억 원 이상 공사는 원주시 단계천 생태하천복원사업(346억), 파주시 운정 하수관로 정비공사(284억) 등 28건으로 지난해보다 12건 증가했다.
2019년도 환경시설공사 발주계획에 대한 정보는 공단 누리집(http://www.kec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경공단은 불공정 거래관행 및 갑질문화를 근절하고, 공사 발주 시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노력을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이후 모든 계약 건에 대해 부당계약 점검표를 의무적으로 작성하도록 제도화했다.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체계(시스템) 의무사용 대상을 당초 추정가격 50억 원 이상의 시설공사에서 30억 원 이상 시설공사로 확대 적용, 하도급업체의 권익을 보호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전국 지자체 곳곳에서 빠르게 발주를 원하는 상하수도, 폐기물 자원화시설 설치 공사를 원하고 있는 만큼, 투명하고 완전한 공사를 진행되도록 관리감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