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홍수예보, 물분야 재생에너지 시스템 논의
양국간 기후위기 공동 대응 5개년 협력 추진
환경부(장관 김성환)는 5일 세종청사에서 제3차 한국-태국 물관리 협력 공동위원회를 열었다.
한국-태국 물관리 협력 공동위는 2019년 9월 방콕에서 양국 정상이 참석 체결된 물관리 분야 양해각서 후속조치로 추진되고 있다.
2019년 10월 제1차 공동위와 2021년 8월에 제2차 공동위가 열었고, 올 3월 열린 제3차 한국-메콩 국제물포럼을 계기로 재개하게 됐다. 이번 제3차 공동위는 환경부 김효정 물이용정책관을 대표로 국내 물관리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태국은 수라스리 키드티몬톤 국가수자원청장을 대표로 태국 나콘랏차시마 시 관계자 등 11명이 참석했다.
태국은 물난리와 고통을 겪고 있는 나라중 한 곳이다. 2023년에 엘니뇨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2022년과 비교해 28%까지 줄었다. 지난해는 태풍과 우기가 겹치면서 치앙마이 강의 수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기후위기에 대응에 취약점이 드러나 우리나라와의 물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성에 공감대가 이뤄졌다.
태국은 디지털 및 인공지능 분야를 신성장 동력으로 추진해 기후적응력 증진을 위한 디지털 물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물관리 모니터링, 데이터 관리, 예측 분석 등 우리 물기업이 강점을 가진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K-water 한국수자원공사의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공동위는 크게 △인공지능 홍수예보체계 활용 물재해 대응력 강화 △스마트 누수 저감 기술 △물분야 재생에너지 시스템 구축 및 관리 등 3가지 분야에서 양국간 정책·기술 교류가 진행될 예정이다.
양국의 물관리 정책·기술 소요를 공유하고 기후위기라는 공동의 문제 대응을 위해 향후 5년간 협력할 사업계획 수립에 대해서 논의한다.
공동위 이후 태국측 방한단은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식 하수처리장으로 하수처리 과정 중 추출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에너지자립도를 높이는 중랑물재생센터와 소수력 기반 전기분해 방식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성남정수장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이번 공동위는 우리나라가 강점이 있는 인공지능 홍수예보, 스마트 관망 관리 기술, 하수도 분야 선진기술을 공유하는 자리"라며 "태국 현지 물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면서 우리 물기업의 해외 진출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맞춤형 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