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육군 전력 자체 생산·소비 가능 지원
한국형 국군 마이크로그리드 표준모델 개발
안정적 작전수행 지원 및 탄소중립 달성 기여
글로벌 에너지 리드 기업 KEPCO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동철)은 8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산업부, 육군본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와 육군의 에너지 자립 업무 체결했다.
업무협약식에 서근배 한전 해외원전사업부사장, 최순건 육군 군수참모부장, 박진호 한국에너지공과대 총장 직무대행, 박상희 산업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장이 자리했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4개 기관은 한반도 갈등 상황, 중동 지역 전쟁 등 급변하는 안보환경 때문이다.
유사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국민 안전에 잣대가 된다고 판단에서다.
한전은 육군의 에너지 자립을 위한 마이크로그리드 기술개발에 상호 협력에도 주도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Micro Grid는 원거리 전력 운송 없이 전력을 자체 생산·저장·소비하는 소규모 지능형 전력망이다.
한전은 전력을 장거리 운송하는 기존의 전력공급 체계에서 벗어나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마이크로그리드(Micro Grid) 시스템으로 전환에 비중을 뒀다.
이같은 배경에는 우리 군(軍)의 에너지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외부 전력공급이 끊기는 유사시에도 안정된 작전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협약을 체결한 4개 기관은 정기·상설 협의체 운영을 통해 국군에 특화된 에너지 자립 모델을 정립하는데 주력한다.
이는 국가적인 모범사례로 발전시켜 육·해·공군과 민관 산업계 등으로 성과를 뻗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풍력와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사용 확대는 필수다. 더불어 국가적 탄소중립실현 달성 및 지역별 자립에너지원 공급의 불균형을 해소해 국가적 에너지 이용 합리화와 전력계통 안정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판단했다.
앞으로도 한전은 100여 년간 쌓아온 전력계통 운영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가 방위를 책임지고 있는 군부대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하는데 집중했다.
앞으로 신재생,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마이크로그리드 등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환경데일리 =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