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소방헬기 운용 총체적 부실 드러나
경기도 보유 소방헬기, 정비 문제 잠만 자
22대 행안위 국감 지난해 단 하루도 안 떠
대다수 외국산 헬기 부품 수급 정비 문제
이달희 의원 "가동률 높이기 국산 헬기 도입"
국내산 헬기를 나두고 외국산 헬기 구매 이후 부품교체나 정비문제로 일년간 한 차례도 뜨지 못한 헬기가 있는것으로 드러났다.
소방청이 운용하고 있는 소방헬기 운용에 총체적인 문제를 감췄다.
국회 행안위 이달희 의원(국민의힘 비례)가 소방청 자료를 근거로 2023년 기준 중앙 및 16개 시도별 소방헬기 평균 불가동 일수가 무려 102일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총 3대를 운용하고 있는 경기소방본부의 소방헬기 당 평균 불가동 일수가 213일로 17개 본부 중에 제일 높았고 8대를 운용하고 있는 중앙 119본부가 151일로 뒤를 이었다. 이어 경남이 112일 제주가 111일, 전남이 107 일 순으로 불가동 일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중 평균 3개월 이상은 헬기 고장에 따른 정비 등의 문제로 사실상 잠자고 있던 셈인데 이로 인한 막대한 정비 비용도 수치로 드러났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19년 215억1000만 원에서 20년 무려 511억으로 2배 가까이 급증했고 이후 계속 늘어나 지난해 653억2000만 원을 정비 예산으로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청이 운용하고 있는 31대 소방헬기 도입 비용이 총 8367억7000만원 인데 연간 500억 이상의 예산을 소방헬기 정비 예산으로 사용하고 있어 사실상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꼴이다.
경기도 소방본부가 보유한 3대의 소방헬기 중 2001년 2월에 63억4000만원에 도입해 운용 중인 러시아산 카모프 헬기(경기 003호)는 21년 2월 20억3000만 원을 들여 외주정비에 착수해 무려 304일을 쉬었고, 22년 5월 추가 정비로 인해 2억이 소요됐고 213일을 가동하지 못했다.
이후 시험비행 중에 엔진이 폭발해 지난해 9억을 들여 엔진 수리를 했고, 결국 2023년에 단 한 번도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고 올 5 월 민간 회사에 10억에 매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최근 3년간 소방헬기 1대에 혈세 약 32억을 쏟아부었지만 제대로 운용하지 못하고 헐값에 매각한 셈이 된 것.
이같이 정비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돼 불가동 일수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이유는 상당수 헬기가 러시아, 이탈리아, 프랑스 등 외국산이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소방청이 운용하고 있는 31대 소방헬기 가운데 4대를 제외한 나머지 27대가 외국산인데 외국산 헬기는 부품수급이 어렵고 일부 헬기는 생산 업체의 인증을 받은 정비사가 수리를 해야 하는 등 어려움이 있어 상대적으로 정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이 의원의 진단이다.
반대로 KAI가 제작해 운용 중인 수리온 헬기의 경우 정비기간이 연 평균 65 일에 불과하고 정비 비용 역시 외국산 대비 15~20% 수준으로 매우 저렴하다는 것이 KAI측 입장.
이 의원은 "국산 헬기의 성능이 외국산 헬기에 비해 뒤처지지 않고 부품 수급이나 정비에도 유리해 예산 절감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가동률을 높이기 위해 소방청은 국산 헬기 도입 확대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119구조본부는 소방헬기를 포함 전국 4개 권역별 특수구조대에 각각 2대씩 소방헬기 배치를, 전국 총 8대의 소방헬기를 운영중이다. [환경데일리 = 이은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