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30일~9월1일 온오프라인 시험
22개정 환경교과서와 기후 이슈 반영
환경재단, 고득점자 기후장학금 방침
시험지를 넘기면, 미래가 바뀐다.

환경재단(이사장 최열) 어린이환경센터가 8월 30일 열리는 '2025 제2회 기후수학능력시험'을 본다.
시험은 서울 코오롱 원앤온리타워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며, 대상은 전국 중·고등학생 100명이다.
기후수능은 교과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환경교육을 보완하고, 청소년 스스로 기후위기를 인식하고 실천하는 '기후 시민'으로 성장을 돕기 위해 마련된 교육형 시험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일부 기후·환경 관련 문항이 등장하지만, 기후위기를 독립적 주제로 다룬 사례는 거의 없다. 환경 과목은 정규 교과로 개설돼 있으나 필수가 아닌 선택 과목으로 분류돼 있다. 전국 중학교의 환경 과목 개설률은 7.9%, 고등학교는 31.7%에 불과하다.
지난 5월 환경재단 어린이환경센터가 전국 어린이·청소년 10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4.3%가 '환경교육이 부족하거나 거의 배우지 못했다'고 답했다.
사실상 공교육 내 환경교육이 배제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줬다. 이 같은 문제의식 속에 출발한 기후수능은 지난해 첫 시행으로 높은 관심을 끌었다.
올해는 출제 범위를 넓히고 교육 효과를 강화해 한층 진화한 형태로 돌아온다. 올해 시험은 2022년 개정된 환경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본 개정에서 '기후위기 및 기후행동'이 독립된 교육 영역으로 신설되고, '시스템사고'역량이 새롭게 추가되는 등 핵심 구조에 변화가 있었다.
기후수능은 교과서에 기반한 학습 범위는 물론, 교과서에서 다루지 못한 기후위기, 탄소중립, 생물다양성 등과 관련된 최신 이슈까지 함께 반영했다. 시험은 총 60분간 객관식 38문항, 주관식 2문항을 포함한 총 40문항으로 구성된다. 시험 직후에 EBS 환경·생태 전문 최평순 PD의 특강과 제1회 기후수능 최고 득점자인 진세연(이우고) 학생의 응시 후기 발표가 이어진다.
참가자 전원에게 개인별 기후성적표가 제공되며, 우수 참가자에게 1등 100만 원, 2등 50만 원, 3등 30만 원의 기후장학금이 수여된다.
올해는 시민을 위한 온라인 시험이 처음 도입된다. 9월 1일 오픈 예정인 기후수능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응시 가능하다. 일정 점수 이상 획득 시 '기후리더 인증서'도 발급된다. 이를 통해 개인의 기후 인식 수준을 점검하고 기후위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
신청은 7월 14일부터 8월 3일까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가능하며, 최종 대상자는 8월 7일 발표된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