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매립기술력과 관련 상용화가 가능한 획기적인 발명으로 도출됐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사장 송병억)는 2024 서울국제발명전에서 금상 1개, 은상 2개를 수상하며 3관왕을 달성했다고 2일 밝혔다.
11월 27~ 30일까지 코엑스에서 2024 서울국제발명전(특허청 주최, 한국발명진흥회 주관)는 32개국이 참가해 519점의 발명품과 특허 기술이 출품됐다.
매립지공사는 총 4건의 특허를 출품해 그 중 '매립가스 간이소각기 자동개폐 및 소각량 모니터링 시스템'기술이 금상을 수상했다.
금상 특허는 매립가스 대기 방출 방지를 위해 간이로 사용되고 있는 매립가스 소각기를 개선에 주목을 끌었다.
특히, 자동 개폐와 소각량 모니터링 등 온실가스 회수량 산정을 가능 기술로 수도권매립지와 전남 여수 매립장에서 시범운영을 추진했다.
쓰레기 시멘트로 불명예를 안고 있는 시멘트업계의 희소식도 있다.
매립가스 정제 시 발생 황부산물 활용 고기능성 시멘트 콘크리트를 개발이다.
도로 포장 기술 '바이오 황 함유 고기능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도로포장 보수·보강 공법'도 눈길을 끌었다.
또 하나는 미생물을 이용한 잔디 조절, 잔디병 예방과 치료 기술인 '유기물 분해 활성이 높은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DPCC6 및 이를 이용한 잔디의 대취 조절 방법' 2건이 은상을 수상했다.
송병억 사장은 "이번 수상을 통해 공사의 자원순환 분야 기술개발 성과를 다시 한번 인정받게 됐다."며 "앞으로도 수도권매립지를 친환경적으로 관리하고 자원순환 사회 구축을 선도하기 위해 기술개발과 관련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환경데일리 = 고용철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