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대표 다시 찾고 싶은 호수 관광 중심
잔디광장 원형광장 조성 수변 조망환경 개선
창포원 물맞이소, 남생이 서식지 복원 사업
전북도, 덕진공원 대표관광지 조성사업 일환
지자체 환경행정 ESG경영 실천 대표 사례
지자체 공원을 이용시민들을 눈높이로 맞춰 무장애 산책과 힐링, 자연보호를 위한 생태계서비스 실행해 ESG경영 대표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전주 도심 속 대표 휴식처인 덕진공원이 시민과 관광객 누구나 수변문화를 향유하며 즐길 수 있는 도심여가형·체류형 관광명소로 탈바꿈된다.
전주시는 '덕진공원 대표관광지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올 상반기 중 △열린광장 조성 △창포원 물맞이소 조성 △남생이 서식지 복원 △야간경관조명 강화 △여름철 경관 개선 등 5개 사업을 마무리하고 8월까지 △산책로 재정비 및 맨발길 조성을 추진해서 기반시설 정비를 위한 6개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올해 32억 원을 투입해 덕진공원 입구에 시민들과 함께할 수 있는 넓은 잔디광장과 원형광장을 조성하는 '덕진공원 열린광장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과거 덕진공원 입구부(연지문~풍월정)와 연화교 사이에 위치했던 높은 녹지 둔덕을 낮추고, 노후 시설물 철거 및 군집된 나무 재배치 등 어디에서든 호수와 연못이 보일 수 있도록 개방적인 휴식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원형광장의 경우 우리 선조들이 세계 최초로 완성한 별자리 지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콘셉트로 조성되며, 야간에도 은하수처럼 조명시설을 설치해 다양한 볼거리와 안전한 산책길을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광장과 연계해 계단형 수변스탠드를 설치할 예정이다.
연꽃군락이 있는 부분은 이미 수중 데크길(연지교)이 연장돼 봄철을 맞아 덕진공원을 찾는 시민과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시는 덕진공원 내 연계성 없이 산재돼있던 거대한 비석과 동상 등을 선별해 이전한다. 노후 휴게시설물을 교체함으로써 공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쾌적하고 새로운 공간을 마련키로 했다. 수변의 노후 산책로 800m 구간을 재정비해 휠체어와 유아차 사용자 등 보행약자도 산책한 만들 계획이다. 건강증진을 위한 코르크 맨발길도 일부 구간에 도입된다.
덕진공원의 역사적 가치와 전통문화를 보전하기 위해 '창포원'을 물맞이소로 재정비해 단오날 창포물에 머리를 감던 창포군락 공간을 조성, 친수공간으로 만들기로 했다.

시는 지난해 덕진호수 준설작업 중 다량 발견된 천연기념물 남생이의 서식지를 복원하기 위해 남생이 서식지 조성과 외래종 거북 퇴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여름철에 덕진공원의 대표자원인 연꽃과 즐길 수 있는 호수변 수국길과 배롱나무길, 음악분수 등 공원을 찾을 때마다 즐기도록 정비작업하고 있다.
시는 덕진공원을 전북특별자치도를 대표하는 관광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2020년부터 △연화정 재건축 △전통담장길 조성 △연지교 재가설 △연화정 및 벽진폭포 미디어 콘텐츠 구축 등 관광기반시설 정비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덕진공원이 전통적이면서도 새로운 야경 명소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서측 전통담장길 LED 바닥조명 200여 개 △동측 메타세쿼이어 숲레이저를 활용한 반딧물 조명 6개 △수중 데크길(연지교) 경관등 531개 △바닥 등 263개 △노후 공원등 교체 및 조도개선 등 야간경관조명 설치도 완료했다.
이영섭 시 자원순환녹지국장은 "덕진공원은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휴식 공간이자, 전주한옥마을 다음으로 많이 찾는 전주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정적이고 폐쇄적이었던 공간이 이번 열린광장 조성과 다양한 기반시설 개선으로 다양한 연령층의 활동과 휴식 공간으로 변화되길 기대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데일리 =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