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지구촌 생계 및 기초생활지원' 청년 일자리 돕기
네이버 해피빈과 현지 열대우림 보전 선순환 모델 실천중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생명다양성재단(이사장 엄정식 서강대 명예교수)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가 이끄는 이화여대 영장류팀은 지난 10년간 연구와 함께 '지구촌 생계 및 기초생활지원' 청년들에게 숲에서 지속가능한 일자리가 가능하도록 돕기 위한 모금에 들어갔다.
자연을 지키는 최일선 파수꾼 역할을 하는 이들을 위한 이번 모금은 '생명다양성(生命多樣性)'의 근본 취지가 같은 맥락이다. 자연은 어느 한 종이 우점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물이 한데 어우러져 사는 모습을 나타낸다. 하지만 문명 속에서 사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러한 다양성은 잘 와 닿지 않는 낯선 개념으로 치부하고 있다.
![]() |
도시의 팽창 속도에 경제논리에 치우친 농촌 축소, 삼림 훼손, 습지와 해안 침식과 바다에서도 수 많은 생물이 멸종의 위협에 직면해졌다.
생명다양성재단은 한 곳에 존재하는 생물 종의 수를 지칭하는 생물학 용어인 '생물다양성(生物多樣性)' 대신, 인간 이웃을 포함하고 있다.
생명다양성은 터전을 공유하는 모든 생명과 삶을 방식을 아우르는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생물과 생명, 이 두 단어의 미묘한 차이가 한자어 문화권 내에서는 인식되지만 영어로 표기할 경우에는 둘이 똑같이 'Biodiversity'로 번역된다. 재단은 'Diversity in Life'라는 이름의 홈페이지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 협의의 종다양성만을 지칭하는 인상을 피하고 본연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다.
공익법인인 생명다양성재단은 관련 법률 규정에 따라 동물과 환경 관련 학문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공부하는 환경운동 ▲창조적인 자연사랑 ▲생태적 경제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
이번 모금은 네이버 해피빈과 함께 현지 주민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며 열대우림을 보전하는 선순환 모델을 실천하기 위해서다.
인도네시아 긴팔원숭이를 연구하는 것은 유일하게 한국 영장류 연구팀이 진행하고 있다. 청년들은 긴팔원숭이가 노래를 하고 새들이 지저귀는 평화로운 숲으로 둘러싸인 인도네시아 할리문 국립공원 내 한 마을. 그 곳에는 가족을 위해 매일 아침 5시부터 차 밭에 나가 햇빛이 뜨겁게 내리쬐는 오후까지 힘겹게 일하고 있다.
그 곳에 일하는 청년 난다르는 집 바로 뒤에 있는 숲 속에서 긴팔원숭이를 따라다니며 연구 보조를 하는 꿈을 이루고 싶었지만 생계를 위해 꿈을 포기하고 도시로 나가 일을 하게 됐다.
영장류 연구팀은 숲을 보전하며 전문성을 키우는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청년들이 전문성을 갖춘 인력으로 성장해 열대우림을 지킬 수 있도록 지원해주기 위해서다. 숲을 보전하는 방식의 경제활동이 없다면, 숲이 유일한 자원인 마을에선 자연스레 지속 불가능한 불법 벌목과 밀렵이 일어난다.
그래서 난다르와 같은 청년의 행복이 계속 유지되려면 영장류 연구팀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연구 시작 후 연구 보조원, 집 임대, 전기 공사 등은 모두 현지 주민들을 통해 이뤄진다.
연중 연구 센터를 방문하는 손님들도 민박과 가게 등 마을 경제에 적잖이 기여한다. 벌써 연구팀을 거쳐간 연구 보조원은 6명이고, 13년째 연구팀과 함께 한 누이(Nuy)는 결혼도 하고 영어도 배워 선생님 일까지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전 교육을 받는 현지 아이들은 자라나 벌목이나 밀렵을 하는 대신, 멸종위기종으로 가득한 숲의 미래를 밝히는 선순환이 일어난다
성과도 있었다. 오랜 시간에 걸쳐 이화여대 영장류 연구팀과 생명다양성재단은 이곳에서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열대우림 보전 모델을 구축해왔다. 이 지역 밀렵 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몇 년째 '0'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났다. 기업의 후원이 중단된 지금, 연구와 보전활동이 위기에 처해있지만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신다면 위기를 극복하고 주민과 함께 더 넓은 열대우림을 보전할 수 있다.
▪️해피빈 모금함 바로가기: https://happybean.naver.com/donations/H000000170543
▪️영장류 연구 정기후원 바로가기: http://diversityinlife.org/?page_id=28
▪️기업후원 문의: 담당자 안선영 사무차장 syahn@ewha.ac.kr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