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정기획위서 재자연화 조속 추진
보철거 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 기자회견
문 정부 '멈췄고' 윤 정권 손바닥 '뒤집어'
녹조 개선 취수 양수장 예산, 보 개방 촉구
"이재명 대통령은 환경 분야 제 1공약 4대강 재자연화 갈라치기 묵살하고 당장 시작하라."
뜨거운 햇살 아래 보철거를 위한 금강낙동강영산강 시민행동 회원 10명이 서울 적성동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기자회견에서 4대강 재자연화와 수질개선을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조속히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기자회견에서 임도훈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상황실장은 "금강 영산강 보 처리방안을 조속히 원상회복 이행을 중단하지 말라달라"고 했다.
특히 낙동강 녹조 개선을 위한 취수 양수장 개선사업 예산확보와 추진, 보 개방을 실행해달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시민행동측은 무의미한 기후대응댐건설, 하천 준설 등을 중단해 윤석열 정부가 파탄낸 물정책을 정상화 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다 여론에 밀려 멈췄던 금강 영산강 보 해체 처리방안과 강 자연성 회복 기조의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원상회복과 이행은 요구했다.
문제는 올여름도 지난해부터 빠르게 찾아온 조류경보가 내려진 낙동강 녹조에 대한 낙동강 700만 명 시민의 식수원이 유해성으로 노출돼 있는데도 외면하고 있다.

기자회견에서 문성호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공동대표는 녹조의 강이 된 금강에는 멸종위기종 2급인 흰목물떼새가 사라지고 있다.
인간이 멀리한 강으로 방치되고 있다고 밝혔다.
문 공동대표는 "낙동강은 더 심각하다. 8개의 보에 맞춰 한 번도 열리지 않아 1년 내내 녹조가 된 강이 됐다."고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꺼냈다.
그는 일부 생태학자들의 말을 인용 "물 그릇이 커지면 녹조가 생기지 않는다거나 강이 흐르지 않는다고 녹조가 생기는 건 아니다라고 부끄러움 없이 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4대강 사업 이후 수많은 비인간 존재들이 죽음으로 저항하며 강은 흘러야 한다고 외쳤지만, 문재인 정부는 4대강의 자연성을 회복은 멈췄고 윤석열 정권은 4대강 재자연화와 보 처리 방안을 손바닥 뒤집었다."고 말했다.
또한 "멸종위기 야생 동물 2급 흰목물떼새는 보이지 않고 새가 살 수 없는 세상이라면 인간들도 머지않아 삶이 위태롭다."라며 "자연의 역습인 기후 재난이 그 증인"라고 꼬집었다.
기자회견에서 진짜 대한민국은 강물이 흘러야 하고, 흐르지 않는 강은 진짜 국민 대한민국이 아니다고 국정기획위원회를 향해 목소리를 키웠다.
이들은 국정기획위원회는 4대강 재자연화와 보 처리 방안을 즉각 이행할 수 있는 방안을 좌고우면하지 말고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미 시민행동은 금강 세종로 천막 농성 420일째로 이어지고 있다.

이어진 발언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에 4대강 재자연화를 공약으로 내놓자마자 보수 언론에서 거짓 선동으로 또다시 4대강 갈라치기를 시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재명 대통령 환경 분야 제1 공약 4대강 재자연화를 약속을 지켜달라고 했다.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는 "지금 환경부 장관과 그 관료들은 윤 전 정부의 강 정책과 하천 정책으로 댐을 만들려고 한다."며 멈추게 해달라고 대통령을 향했다..
김도형 영산강 네트워크 사무총장은 "충분히 국민들이 얘기했고 우리가 얘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새 정부가 우리 얘기를 안 들어주는 것 같아서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이런 호소는 이미 환경부는 2030년까지 재자연화하겠다는 업무 보고를 이재명 대통령 책상에 올려졌기 때문이다. 김 사무총장은 "공론화 테이블을 만들어 국민주권 시대에 대한 걸맞은 국정기획위원회의 역할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 정부는 4대강 재자연화를 추진했던 4대강 조사평가단 해체와 국가물관리위원회 권한과 기능을 축소했다.
보철거를 위한 금강낙동강영산강 시민행동은 국정기획위원회 사회분과에 제안서를 전달했다. 이자리에서 국정기획위 사회분과 환경담당 차지호 의원은 "환경공약을 최우선을 생각하고 다루고 있다."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시민행동 집행부에 의견을 전달했다.
안숙희 활동가는 오는 20일 대규모 2차 기자회견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전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