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日 야마시나조류연구소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한일 양국은 멸종위기종 2급 흑두루미 보호를 위한 감염성 AI를 공동으로 대책을 세우기로 했다.
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원장 신동인)은 AI 조류인플루엔자 공동 대응을 위해 일본 야생조류 전문기관인 야마시나조류연구소와 20일 치바현에 있는 야마시나조류연구소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이엇 22일 양국간 이동하는 흑두루미(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의 AI 대응을 위해 이즈미시와도 이즈미 시청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한다고 밝혔다.
국내 AI는 겨울철새 이동에 따라 번식지인 몽골 및 시베리아 북쪽 지역에서 월동지인 국내로 유입이 되고 있어 주변국가와의 공동 대응이 중요하다.
이번 체결은 우리나라와 일본이 철새 이동경로(동아시아-대양주, 서태평양 철새이동경로)를 공유하고 양국의 공동대응이 필요함에 따라 추진된 것. 특히 지난해 11월 1일 이즈미시에서 고병원성 AI로 인한 흑두루미 첫 폐사가 발생했고, 약 10일 뒤 11월 13일 순천시에서 흑두루미의 폐사가 시작됐다. 전 세계 흑두루미 중 80%는 이즈미시에서
겨울을 보낸다.
이런 심각성에 양국은 공동 대응하기 위해 양해각서에 야마시나조류연구소와는 두루미류 등 AI 감수성 야생조류의 위치추적기 부착협력과 야생조류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 이즈미시와는 흑두루미의 감시 결과를 비롯해 AI 발생 및 동향 변화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신동인 원장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AI의 공동 대응을 위한 양국의 초석으로, 일본과의 연구 협력을 강화해 국내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조기감시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