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올림픽 기조에 천연재료 활용 '필댐' 건설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K-eco 한국환경공단은 총 598억원을 투입해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급수체계구축사업 시설공사가 완료됐다고 14일 밝혔다.
위치는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에는 저수용량 195만톤 규모의 식수전용 댐과 하루 시설용량 7000㎥ 규모의 정수장에서 도수관로 3.7㎞와 송수관로 14.85㎞를 통해 올림픽선수촌과 알펜시아 리조트 일대의 공급된다.
환경공단에 따르면 이번 공급되는 식수는 올림픽 개막일 2월 9일부터 25일까지 공급되는 신설 정수장은 가압방식 대신 고저 차가 큰 대관령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해 자연적으로 물이 흐르는 방식을 활용했다. 이로 인해 연간 온실가스 296톤, 전력 63만6195킬로와트시(KWh)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평창식수전용 댐은 흙을 비롯해 모래, 자갈, 암석 등 천연재료를 쌓아올린 흙댐(Fill Dam) 형태로 건설됐다. 전체 27만㎥ 성토용 토사 중 63%(17만㎥)를 댐 건설을 위한 수몰지역에서 퍼와, 수몰지역 내 나무 800그루와 구실바위취, 노랑무늬붓꽃 등 희귀식물은 댐 상류 미수몰지역에 대체조림지를 조성해 옮겨 심었다.
다만 패럴림픽(3월 9~18일) 이후 기존 대관령정수장은 폐쇄된다. 평창식수전용 댐 정수장에서 종전 공급지역(대관령면) 중 물이 부족한 지역과 인근 진부 정수장에서 식수를 공급받던 알펜시아 지역 등에 식수를 공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