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무리 배송 자제'
박홍배 의원 "쿠팡 비윤리 태도 대안내야"
21일 국회 환노위 '쿠팡 택배노동개선 청문회'
박홍배 의원 "위험 외주화 방치 멈춰야"주장
물류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쿠팡이 진땀을 흘리고 있다. 쿠팡을 대상으로 국회공청회에서 22대 국정감사 지적된 종사자 처우개선이 나오지 않자. 국회 환노위(위원장 안호영) 전체회의에서 21일 오전 다시한번 쿠팡문제를 집중 다루고 위한 공청회를 실시했다.
이자리에는 증인자격으로 강한승 쿠팡 대표를 비롯해 홍용준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대표, 정종철 쿠팡풀필먼트서비스 대표가 쿠팡 택배노동자 심야노동 등 근로조건 개선에 대한 입장을 물었다.
예상했던대로 크게 변화는 없어 언론적인 답변만 오고갔다. 22대 국감에서 김주영, 박홍배, 박해철, 임미자, 정혜경 등 여야 소속 의원들이 일제히 쿠팡 사태를 집중 추궁했다.
이미 '쿠팡 소속 택배근로자는 소모품인가?'이라는 인식이 커진 가운데 국내 택배 1위 쿠팡을 고수하고 있다. 앞서 또 한번 사건이 터졌다. 수도권에 역대급 폭설이 쏟아진 지난해 11월, 상상을 뛰어넘는 이상한 주문이 터졌다.
바로 '카플렉스'배송기사들에게 '최대 15만원'의 추가 수수료를 제시하며 배송을 독려했다.
경북 경산의 한 쿠팡 카플렉스 기사가 폭우 속에서 배송 중 급류에 휩쓸려 숨진 지 불과 4개월밖에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이런 결정은 사고 위험을 무시한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국회 환노위 소속 박홍배 의원은 쿠팡은 지난해 11월 27일과 28일 수도권, 충청 지역의 카플렉스 배송기사들에게 배송 건당 1000원 또는 최대 15만원의 추가 수수료를 지급하겠다는 메시지를 전송했다.
이 시기는 수도권에 기록적 폭설이 내린 기간으로 , 경기 수원에서 11월28일 기준으로 역대 최고 적설량인 43.0㎝가 기록됐다.
11월 28일에 전송된 메시지에 △21 ∼ 60건 배송 완료 시 2만원 △61 ∼ 90건 배송 완료 시 7만원 △91건 이상 배송 완료 시 15만원을 추가 지급하겠다고 안내됐다.
이는 누적 배송 건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 '폭설 배송'을 독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쿠팡의 카플렉스는 본사가 일일 아르바이트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자회사인 쿠팡 CLS와 계약한 대리점 소속의 '퀵플렉스'배송기사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택배 · 배송대행 관련 법인인 생활물류서비스법에 '폭설 등 기상악화로 인해 생활물류서비스 종사자의 활동이 어려운 경우에 대비한 안전대책 마련'을 사업자의 의무로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CJ대한통운 ·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택배업체는 폭설 당시 공지를 통해 '무리한 배송 자제'를 별도로 안내했다.
쿠팡 CLS 와 달리, 카플렉스 배송기사를 운용하는 쿠팡 본사는 국토부에 등록된 택배사업자가 아니라 생활물류서비스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지난해 7월, 경산의 한 쿠팡 카플렉스 배송기사가 폭우로 인한 급류에 휩쓸려 생명을 잃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에도 쿠팡은 배송기사들의 안전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오히려 폭설 속에서도 배송을 독려하기 위해 추가 수수료를 제시하는 등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박홍배 의원은 "쿠팡은 매출 증대에만 급급해 노동자들을 위험한 상황에 몰아넣는 비윤리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역대급 폭설 속에서 배송을 독려하는 것은 쿠팡이 노동자의 생명보다 이익을 우선시하는 민낯을 여실히 드러내는 사례"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위험의 외주화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되며 시급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