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건립 인허가 35% 첫 삽 못떠
소음 열섬, 전자파 노출 가능 환경 침해
이동환 고양시장 "주민 우려 충분히 공감"
식사동 주민 의견 청취…"가능 부분 찾겠다"
직소민원 소통의 날, 주민 소통 강화 노력
전국적으로 데이터센터 건립이 핫이슈다. 원인은 인공지능(AI) 관련 사용 빈도가 폭증하면서 서버용량과 함께 전력 에너지 소비량도 폭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 증설 및 신규 건립이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데이터센터는 개인 스마트폰에서 전자파가 발생하듯이, 365일 가동되는 데이터센터 안팎으로 막대한 양의 전자파가 분출될 수 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건립 시공사와 통신사, 해당 주민들간의 충돌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서울 수도권은 더 심각하다.

주민 민원은 시를 압박해 데이터센터 건립 인허가를 받아야 할 35% 정도는 첫 삽조차 뜨지 못한 채 빈 땅으로 방치돼 있다.
DL이앤씨, GS건설 등은 김포시 구래동과 고양시 덕이동이 대표적이다.
인근 주민들이 우려하는 부분은 일년 내내 단 10분도 쉬지 않고 가동되면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학생 등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장이다.
통신업계나 국내 가전사측은 반론이다. DC는 전자파가 없고 반대로 AC는 초당 60번 주기로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변화하며 흐르는 전류인 반면 DC는 배터리처럼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고정돼 일정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려 문제가 없다고 설명이다. 경남 밀양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갈등은 없앨 수 있는 논리다.
하지만, 녹색연합 등 환경시민단체는 전자파는 전혀 없을 수 없고 냉난방을 이용한 열을 식히는 시스템으로 과도한 전력소비는 불가피하다고 주장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이 최근 식사동 주민들과 자리에서 식사동 293번지 일원 데이터센터 건립 반대에 따른 달래기는 소통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는 식사동 위시티 입주자대표회의연합회 구성된 비대위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그간 식사동 데이터센터 건립을 놓고 주민들은 원천 반대의 목소리를 낮추지 않았다. 해당 데이터센터는 지난 해 9월 건축허가가 접수된 이후, 관계 부서 및 유관 기관과의 협의 절차를 거치고 있는 중이다. 주민들 입장은 ▲아파트 및 초등학교 근접성 ▲소음 및 열섬현상 ▲초고압선 전자파 노출 가능성 ▲녹지 훼손 주거 환경 침해 등을 이유를 제시했다.
시는 주민들의 걱정과 요구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 다만,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면밀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갈등 해소를 위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도시계획위 및 건축위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종합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데이터센터 건립과 관련한 건축허가가 법령상 요건을 충족할 경우 허가를 내줄 수 밖에 없다. 시는 주민들이 우려하는 문제 해결에 최선으로 설득하는 중이다.
이동환 시장은 "데이터센터 건립과 관련, 주민들이 걱정하시는 부분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전문가 검토를 통해 이 사안을 보다 깊이 있게 살피고, 가능한 부분부터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데일리 = 허현수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